장마철 빨래, 냄새 없이 말리는 실내 건조법 (건조기 없이도 가능)

비 오는 날이 며칠씩 이어지는 장마철, 매번 빨래를 미룰 수도 없고 세탁 후 하루 종일 널어놨는데도 빨래에서 쉰내가 날 때 정말 난감하죠. 특히 건조기가 없는 가정 이라면 더욱 실내 건조 환경에 신경 써야 합니다. 세탁기 청소 관리법 바로가기 오늘은 장마철에도 냄새 없이 빨래를 말리는 방법 을 실용적이고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빨래 냄새, 왜 생길까요? 빨래에서 냄새가 나는 주된 이유는 수분이 오래 남아 세균이 번식하기 때문 입니다. 특히 마르기 전 6시간 이상 젖은 상태가 지속되면, 섬유 속에 있는 물기와 단백질 잔여물이 박테리아의 서식지가 되기 시작합니다. 이때 나는 냄새는 단순 ‘눅눅함’이 아니라, **곰팡이와 유산균이 만들어내는 불쾌한 ‘발효취’**에 가까워요. 한 번 배면 세탁을 다시 해도 잘 안 빠질 수 있습니다. 2. 장마철 세탁, 이렇게 시작하세요 세탁 전 세탁조를 주 1회 관리 하세요. 세탁조에 쌓인 세제 찌꺼기와 곰팡이도 냄새의 원인이 됩니다. 빨래를 모아뒀다가 한꺼번에 하기보다, 자주 세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냄새 나기 쉬운 수건류는 세탁 전 식초 한 뚜껑 을 함께 넣으면 살균 효과가 있습니다. 세탁 중 표준코스보다 탈수 시간을 2~5분 길게 설정 하세요. 수건처럼 두꺼운 직물은 ‘강력 탈수’ 또는 ‘이불 코스’로 돌리는 게 좋습니다. 섬유유연제는 오히려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과다 사용은 피하세요. 3. 실내 건조 팁 (건조기 없이) 빠르게 말리는 것이 핵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