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 민생 회복 소비 쿠폰 지원 안내 (4인가족 100만원)
정부는 최근 내수 경기 활성화와 민생 안정을 위해 전국민 대상 소비쿠폰 및 지원금 지급을 결정했습니다. 이 조치는 고물가와 소비 위축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과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것으로, 2025년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의 핵심 내용입니다. 모든 국민에게 일정 금액의 소비 포인트를 지급하고, 저소득층과 인구 소멸 지역에는 추가 지원금을 제공합니다. 어디로 받을 것인지는 여러분이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아래버튼을 눌러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전국민 소비쿠폰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지원개요
- 지원 대상: 대한민국 전 국민 (일부 고소득층 및 외국인은 제외될 수 있음)
- 지급 방식: 자동 지급 + 일부 신청 필요, 선택형 지급 수단
- 지급 수단: 신용카드 포인트, 체크카드, 지역화폐, 선불카드 등
2. 지급 조건별 상세내역
구분 | 1차 지급 | 2차 지급 | 인구소멸지역 추가 | 총 지급액 |
---|---|---|---|---|
기초수급자 | 400,000원 | +100,000원 | +20,000원 | 520,000원 |
차상위계층 | 300,000원 | +100,000원 | +20,000원 | 420,000원 |
일반 국민 | 150,000원 | +100,000원 | +20,000원 | 270,000원 |
고소득층 (상위 10%) | 150,000원 | – | +20,000원 | 170,000원 |
1) 1차 소비쿠폰 금액
-
기초수급자: 40만 원
-
차상위계층: 30만 원
-
일반 국민: 15만 원
-
고소득층: 15만 원 (2차 제외)
2) 2차 소비쿠폰 금액
-
대상: 소득 하위 90% (중위소득 150% 이하)
-
금액: 일괄 10만 원 추가
-
추가 지원:
-
인구소멸지역: 2만 원
-
아동(0~6세): 아동 1인당 5만 원
-
3) 소득 기준 확인 방법
-
건강보험료 납부 기준
-
직장가입자: 월 27만 원 이상 → 고소득층 추정
-
지역가입자: 약 20만 원 이상 → 고소득층 추정
-
확인 경로: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
3. 소비쿠폰 사용정보
1) 지급 방식
소비쿠폰은 현금이 아닌 디지털 또는 실물 형태의 포인트·상품권·카드로 지급됩니다. 선택 가능한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용카드 포인트: 등록된 카드로 자동 충전되어 사용 시 차감
-
체크카드 캐시백: 해당 카드로 결제 시 일정 금액이 차감 또는 돌려받는 방식
-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모바일형, 지류형 등으로 제공되어 해당 지자체 내 가맹점에서 사용
-
선불카드: 지정된 한도만큼 충전되어 지급, 일부 사용처 제한
2) 소비쿠폰 사용 가능 업종 (대표 예시)
다음은 실제 사용 가능한 대표 업종입니다:
-
일반 음식점, 동네 마트, 편의점, 제과점
-
미용실, 이발소, 네일숍, 세탁소
-
문구점, 서점, 장난감점
-
약국, 한의원, 병원 일부
-
헬스장, 필라테스, 문화센터
-
학원, 독서실, 교육서비스 업종
3) 사용이 제한되는 업종 (사용 불가 예시)
-
대형마트, 백화점, 아울렛, 온라인 쇼핑몰
-
유흥업소, 안마시술소, 카지노
-
귀금속점, 휘발유 주유소, 차량 구매처
-
상품권 구입처, 일부 면세점
4) 사용 유의사항
-
지자체별 가맹점 등록 여부에 따라 실제 사용 가능 업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카드사 앱 또는 지역사랑상품권 플랫폼에서 사전 가맹점 조회 필수입니다.
-
사용 전 매장에서 쿠폰 사용 가능 여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일부 업종은 결제 시도 후 승인 거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신청방법 및 절차
① 신청 구분
-
1차 소비쿠폰:
-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지급됩니다.
-
주민등록상 정보 및 건강보험료 납부 내역에 따라 자동 반영됩니다.
-
-
2차 소비쿠폰:
-
소득 하위 9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지급되며,
-
별도의 신청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② 신청 채널
-
온라인 신청처
-
정부24(www.gov.kr)
-
각 지자체 홈페이지
-
카드사 앱 (지급 방식 선택 시)
-
-
오프라인 신청처
-
주민센터
-
지역화폐 발급소
-
어르신·장애인을 위한 대리 신청 창구 운영 예정
-
③ 신청 절차 (2차 소비쿠폰 기준)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신청 공고 및 대상자 개별 통지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청서 작성 및 제출
– 본인 인증 후
지급 수단(카드/지역화폐 등) 선택
– 신청 승인 후
문자 또는 앱으로 수령 알림 발송
– 수령 확인 후
소비쿠폰 사용 개시
④ 유의사항
-
기한 내 신청 필수: 신청 마감일을 반드시 확인하고 늦지 않게 신청해야 합니다.
-
대리 신청 가능: 고령자나 정보 취약 계층의 경우, 가족이나 보호자가 위임장을 통해 대신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급 수단 선택 주의: 지역화폐, 카드포인트 등 수단별로 사용처와 유효기간이 다르므로 사전에 확인해야 합니다.
5. 부가혜택: 가전환급·문화·숙박 할인쿠폰
①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 제도
-
지원 내용: 에너지 고효율 인증을 받은 가전제품을 구입할 경우, 구매 금액의 10%를 환급
-
최대 지원금: 가구당 최대 30만 원
-
대상 품목: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TV, 전기밥솥 등 총 11개 품목
-
지원 인원: 선착순 240만 명까지 한정
② 문화·여가 할인 쿠폰
-
영화관: 1인당 최대 4회까지 6,000원 할인
-
공연·전시·체험 활동: 티켓 금액 기준 최대 1만 원 할인
-
도서·음반·영상 콘텐츠 구매: 온라인/오프라인 상관없이 일부 콘텐츠 할인 제공
③ 숙박 할인 쿠폰
-
할인 금액: 1박당 2만~3만 원 할인
-
대상 숙소: 국내 등록된 호텔, 모텔, 게스트하우스, 펜션 등
-
제한 사항: 쿠폰 적용은 예약 플랫폼 지정일 내 선착순 신청자에 한함
④ 지역화폐 할인율 상향 조정
-
기존 7~10%였던 지역화폐 할인율을 최대 15%까지 확대
-
사용처: 지역 내 가맹점, 전통시장, 동네마트 등
6. 자주 묻는 질문 (FAQ)
∙ 외국인도 소비쿠폰을 받을 수 있나요?
→ 원칙적으로는 제외되지만, 결혼이민자나 영주권자 등 일부 예외 대상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기준일 이후 출생한 아기도 대상인가요?
→ 기준일 이전에 출생신고가 완료된 아기는 대상에 포함됩니다. 이후 출생자는
제외될 수 있습니다.
∙
고소득 기준은 어떻게 정해지나요?
→ 건강보험료 납부 기준으로 직장가입자 월 27~38만 원 이상, 지역가입자는
재산·소득 합산 기준으로 상위 10%가 제외됩니다.
∙
소멸위험지역 거주 여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 행정안전부에서 지정한 ‘소멸위험지역’ 목록을 참조하거나, 시군구청 민원실 또는
정부24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소비쿠폰은 현금처럼 쓸 수 있나요?
→ 아니요. 지정된 업종 및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한 선불카드, 지역화폐, 카드
포인트 형태로 지급됩니다.
∙
유효기간이 지나면 어떻게 되나요?
→ 미사용 금액은 자동 소멸되며, 연장이나 환불은 불가합니다. 반드시 기간 내
사용해야 합니다.
∙
사용 가능한 매장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스티커가 부착된 매장에서 사용 가능하며, 지자체
홈페이지나 카드사 앱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
1·2차 모두 받으려면 별도로 신청해야 하나요?
→ 1차는 자동지급, 2차는 기준 중위소득 이하 가구만 선별 지급됩니다. 필요 시
온라인 신청이 안내될 수 있습니다.